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VS.NET IDE: 47. Orcas - Web Browser Debugger를 이용한 보호 모드의 ActiveX 컨트롤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500

디버깅 기술: 25. 보호 모드로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682

디버깅 기술: 26. 보호 모드로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683

VS.NET IDE: 193. C# - Visual Studio의 자식 프로세스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3720





보호 모드로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지난 이야기에서,

보호 모드로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682

보호 모드로 디버깅하는 방법을 다뤄봤는데요. 좀 사용하다 보면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미 빌드된 프로젝트를 디버깅하는 경우라면 "100ms * 50"의 시간 내에 디버깅이 되겠지만, 새로 빌드되는 경우라면 가뿐히 그 시간을 넘어버립니다. 게다가 100ms 마다 모든 프로세스를 열람해서 이름 비교하게 하는 것에 CPU 자원을 소모하는 것도 아깝지요. 이 때문에 빌드 시간을 고려해서 그 만큼 쓰레드의 루프를 늘리는 것도 부담됩니다.

이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해 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1. 신규 프로세스를 감시
  2. 신규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가 디버깅 대상 프로세스인 경우에만 Debug.Attach

자... 그럼 해볼까요? ^^




첫 번째 항목을 해결하기 위해서 검색을 해보면 몇 가지 좋은 방법이 눈에 띕니다.

Detecting Windows NT/2K process execution
By Ivo Ivanov
; http://www.codeproject.com/KB/threads/procmon.aspx

Process Information and Notifications using WMI
By Asghar Panahy
; http://www.codeproject.com/KB/system/win32processusingwmi.aspx

정확한 방법을 선택한다면 "Ivo Ivanov"가 제안한 방법이 훌륭하겠지만 VS.NET 매크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Asghar Panahy"가 제안한 방법이 더 훌륭합니다.

그렇게 해서 WMI를 이용하여 프로세스를 감시하겠다고 했으면, 두 번째 항목도 자연스럽게 해결됩니다. WMI 이벤트 발생 시점에 디버깅 대상의 프로세스 ID와 2차 생성된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 ID를 비교하여 Process.Attach 메서드를 실행시키면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VB 매크로로 적용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소스는 복잡해졌지만 대상 프로세스 명도 지정할 필요없으니, 적용하기에는 더욱 편해졌습니다.)

Public Module DTEHelper

    Public Sub RunAndAttachTo()

        DTE.Solution.SolutionBuild.Build(True)
        DTE.Solution.SolutionBuild.Debug()

        AttachTo()

    End Sub

    Dim watcher As ManagementEventWatcher

    Public Sub AttachTo()

        Dim pol As String
        pol = "1"

        Dim queryString As String
        queryString = "SELECT *" & _
                        "  FROM __InstanceOperationEvent " & _
                        "WITHIN  " & pol & _
                        " WHERE TargetInstance ISA 'Win32_Process'"

        Dim scope As String
        scope = "\\.\root\CIMV2"

        If (watcher Is Nothing) Then
        Else
            watcher.Stop()
            watcher = Nothing
        End If

        watcher = New ManagementEventWatcher(scope, queryString)
        Debug.Print(queryString)

        ' 새로 생성되는 프로세스를 감시한다.

        AddHandler watcher.EventArrived, AddressOf OnEventArrived
        watcher.Start()

    End Sub

    Private Sub OnEventArrived(ByVal sender As Object, _
        ByVal e As EventArrivedEventArgs)

        Dim watcher As ManagementEventWatcher
        watcher = sender

        If (DTE.Debugger.DebuggedProcesses.Count = 0) Then
            watcher.Stop()
            Exit Sub
        End If

        Dim debuggeeProcessId As Integer

        Dim processes As EnvDTE.Processes
        processes = DTE.Debugger.DebuggedProcesses

        ' 1차 디버깅 프로세스의 ID를 구한다.
        ' 즉 psexec.exe의 ID를 구한다.
        If (processes.Count <> 0) Then
            For Each proc As EnvDTE.Process In processes
                debuggeeProcessId = proc.ProcessID
            Next
        End If

        ' 새로 생성된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 ID를 구한다.
        ' 즉 psexec.exe의 하위에 생성된 프로세스를 구별해 낸다.
        Dim parentProcessIdOfnewProcess As Integer
        Dim targetInstance As ManagementBaseObject
        targetInstance = e.NewEvent.Properties("TargetInstance").Value

        parentProcessIdOfnewProcess = targetInstance.Properties("ParentProcessId").Value

        ' 만약 psexec.exe의 하위 프로세스라면 디버거를 연결한다.
        If (parentProcessIdOfnewProcess = debuggeeProcessId) Then

            Dim newProcessName As String
            newProcessName = targetInstance.Properties("Name").Value.ToString()
            watcher.Stop()

            For Each proc In DTE.Debugger.LocalProcesses
                If (proc.Name.IndexOf(newProcessName) <> -1) Then
                    Debug.Print("Attached successfully!")

                    proc.Attach()
                    Exit For
                End If
            Next

        End If

    End Sub

End Module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9-11 10시41분
포함된 매크로 코드가 개선되었습니다.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

Apache Module에 대한 'F5 디버그 (Start with debugging)'
; http://www.sysnet.pe.kr/2/0/1053
정성태
2014-12-11 03시15분
자식 프로세스에 대한 디버깅 기능이 드디어 Visual Studio에 추가되었습니다. ^^

Introducing the Child Process Debugging Power Tool
; https://devblogs.microsoft.com/devops/introducing-the-child-process-debugging-power-tool/
정성태
2021-06-11 11시21분
Introducing the Child Process Debugging Power Tool
; https://devblogs.microsoft.com/devops/introducing-the-child-process-debugging-power-tool/

Microsoft Child Process Debugging Power Tool
; https://marketplace.visualstudio.com/items?itemName=vsdbgplat.MicrosoftChildProcessDebuggingPowerTool

This extension allows Visual Studio to automatically debug child processes (new processes spawned from a process that you are already debugging).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81정성태8/1/2025169오류 유형: 971. CentOS 7에서 yum 사용 시 "Could not resolve host: mirrorlist.centos.org; Unknown error"
13980정성태7/31/2025232Linux: 119. eBPF - BPF_PROG_TYPE_CGROUP_SOCK 유형에서 정상 동작하지 않는 BPF_CORE_READ (2)
13979정성태7/30/2025252Linux: 118. eBPF - BPF_PROG_TYPE_CGROUP_SOCK 유형에서 정상 동작하지 않는 BPF_CORE_READ
13978정성태7/29/2025347오류 유형: 970. 파일 복사 시 "Data error (cyclic redundancy check). (0x80070017)" 에러
13977정성태7/28/2025451닷넷: 2349. C# 14 - (5) 문자열 리터럴을 utf-8 인코딩으로 저장파일 다운로드1
13976정성태7/25/2025682닷넷: 2348. C# - 카카오 카나나 모델 + Microsoft.ML.OnnxRuntimeGenAI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975정성태7/23/2025823닷넷: 2347. C# 14 - (4) 형식 인자가 없는 제네릭 타입의 nameof 지원파일 다운로드1
13974정성태7/22/20251057닷넷: 2346. C# 14 - (3) Span 타입과 배열 간의 암시적 형변환파일 다운로드1
13973정성태7/21/2025959닷넷: 2345. C# - 배열 및 Span의 공변성파일 다운로드1
13972정성태7/21/20251249닷넷: 2344. C#의 Identity conversion 의미파일 다운로드1
13971정성태7/17/20251421닷넷: 2343. C# 14 - (2) 속성 구문에서 문맥 키워드로 추가되는 field 예약어파일 다운로드1
13970정성태7/17/20251386닷넷: 2342. C# 14 - (1) (예약)
13969정성태7/17/20251434닷넷: 2341. snap으로 설치한 .NET 리눅스 실행 환경
13968정성태7/16/20251313오류 유형: 969. lddtree - TypeError: 'type' object is not subscriptable
13967정성태7/16/20251835오류 유형: 968. snap으로 설치한 "dotnet run" 실행 시 "undefined symbol: _dl_audit_symbind_alt, version GLIBC_PRIVATE" 오류
13966정성태7/15/20252379디버깅 기술: 223. WinDbg - .kframes 명령어
13965정성태7/11/20251658오류 유형: 967. 디버깅 모드로 실행 시 "Could not find file 'C:\Program Files\IIS Express\Oracle.DataAccess.Common.Configuration.Section.xsd'" 예외
13964정성태7/10/20252329닷넷: 2340. C# - Win32 Multimedia Timer 주기파일 다운로드1
13963정성태7/8/20251876VS.NET IDE: 202. Visual Studio 2022 + Copilot 기본 사용법
13962정성태7/7/20251896스크립트: 79. 파이썬 - onnxruntime_genai에서 지원하지 않는 모델 사용
13961정성태7/5/20251600디버깅 기술: 222. WinDbg 분석 사례 - IISreset 시점에 w3wp.exe의 crash 발생
13960정성태7/3/20252785개발 환경 구성: 752. ProcDump - C/C++ 예외 코드 필터를 지정한 덤프 생성 [2]
13959정성태6/25/20251813오류 유형: 966. Ubuntu - ping: connect: Network is unreachable
13958정성태6/21/20252468닷넷: 2339. C# - Phi-4-multimodal 모델의 GPU 가속 방법 (ORT 사용)파일 다운로드1
13957정성태6/20/20252914닷넷: 2338. C# / Foundry Local - Phi-4-multimodal 모델을 사용하는 방법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